ESG투자, 기업에 미치는 영향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시사

ESG투자,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ESG투자, 기업에 미치는 영향

 

ESG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ce)

 

 

요즘 기업의 ESG 성과를 판단의 기초로 삼는 ESG 투자가 유행하고 있다. 이는 ESG를 통해 지구 환경을 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자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ESG가 기업 성과 개선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셈에 밝은 투자자들이 ESG투자에 나설 리 만무하다.

 

ESG와 기업의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 대해 수백건의 연구가 있었지만, 완전한 합의가 도출되지는 않았다.

 

 

어떤 연구는 둘 사이에서 오히려 음(-)의 상관관계를 찾아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ESG 모범기업이 적어도 같은 사업을 영위하는 동종 기업에 비해서는 장기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이미 ESG에 모범적이었던 기업 90개를 뽑은 뒤 각각의 기업과 같은 산업에 속하면서 비슷한 규모와 수익성.성장성을 갖춘 기업들을 비교했다.

 

그 결과 ESG 모범기업들이 1993~2010년에 주가수익률과 회계상의 성과(자산수익률) 두 척도 모두에서 비교 기업들이 훨씬 넘어섰다.

 

ESG 모범기업들이 좋은 재무적 성과를 낸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ESG를 비롯한 비재무적 지표는 기업으로 하여금 장기적 관점을 갖게 해주며, 이는 불확실성이 높은 현대 경영에서 미래를 보다 잘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기업이 재무적 지표에만 치중하면 관점이 단기에 머물기 쉽다.

 

근시안적 경영으로 장기적 위험을 경시하고 장기적 기회를 무시할 수 있다.

 

또한 ESG라는 도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존 패러다임으로는 생각하지 못한 혁식이 싹틀 수 있다.

 

둘째, 기업이 ESG에서 좋은 성과를 내면 이는 소비자와 종업원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2014년 닐슨이 60개국 3만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가 "사회적.환경적으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제품에 대해서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패션기업 갭(GAP)을 대상으로 실시된 다른 조사에 따르면 '제조 과정에서 수질오염을 줄였다'고 밝힌 청바지 제품은 여성 쇼핑객의 구매가 8%늘어났다.

 

ESG 모범기업은 평판이 올라가 좋은 종업원을 채용하기도 쉬워진다.

 

기업이 사원을 채용할 때 사회적 책임과 자선 프로그램에 적극적이란 사실을 알린다면 입사 지원자들은 다른 지원자들에 비해 회사에 요구하는 희망 급여 수준을 낮추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월급이 좀 낮아도 그런 회사에선 일하고 싶다는 이야기다.

 

또한 그렇게 입사한 사람들은 기대 수준이상으로 일을 열심히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요즘 젊은 세대는 일터에서도 가치를 느끼고자 하기에 기업은 ESG의 필요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기업이 주주는 물론이고 종업원과 소비자, 지역사회 등과 좋은 관계를 맺고 신뢰를 형성할 경우 이는 기업이 부정적 쇼크에 처했을 때 도움이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ESG 점수가 높았던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4~7%높은 주가수익률을 달성했다.

 

ESG가 기업 입장에서 일종의 보험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하지만 ESG 성과가 높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가 높다고 해서 이를 ESG 성과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는 반론도 있다.

 

모범생은 모든 과목 점수가 두루 좋으며, 윤리 점수도 좋다. 그러나 윤리 점수가 높기 때문에 영어,수학 점수가 좋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우량기업일수록 여유자금이 많기에 ESG에 신경 쓸 여력이 있고, 경영진이 우수하기에 현명한 ESG 투자 결정을 해서 결과적으로 ESG 성과가 좋게 나올 수 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문제인 것이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ESG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투자자와 이해관계자가 매우 많으며, 기업은 이를 결코 무시할 수 없게 됐다는 사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