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가 무엇인가?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시사

ESG가 무엇인가?

반응형

ESG가 무엇인가?

 

알면 보이고 모르면 보이지 않는다. 내가 애쓰고 노력한만큼 보이는 것 같다. 물론 모든 것을 다 안다고 좋은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세상을 살면서 무엇이든지 노력하고 산다고 나쁠 것은 없지 않은가?

 

 

"SK 그룹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ESG분야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전담 조식을 신설했다."

 

"최근 ESG 투자가 주목받으며 펀드에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최근 국내 금융기관들이 잇따라 ESG채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올해 들어 발행된 것만 50조원에 육박한다."

 

요즘 뉴스에 ESG란 말이 부쩍 자주 등장하고 있다. 특히 투자 관련 뉴스에 단골로 등장한다. 도대체 ESG가 뭘까?

 

ESG란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영어 약자를 딴 말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영향을 측정하는데 있어 세가지 핵심 요소를 말한다.

 

다시 말해 사회가 기업에 요구하는, 제품 이상의 덕목을 말한다.

 

이제 말뜻을 알았으니 위 뉴스들의 풀이해보자.

 

첫번째 뉴스는 SK그룹이 환경.사회.지배구조 세가지를 각별히 신경 쓰기 위해 전담 조직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두번째 뉴스는 이 세가지를 잘하는 기업들에 골라서 투자하는 펀드가 ESG펀드인데, 여기에 돈을 넣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의미다.

 

세번째 뉴스에 나오는 ESG채권이란, 채권을 팔아 모은 자금으로 ESG 관련 기업이나 사업에만 투자하는 채권을 말한다.

 

그런 채권을 금융기관들이 잇따라 발행하고 있다는 의미다.

 

사회규범은 사람들의 경제행위를 형성하고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여년간 기업의 사회적.환경적 책임이 사회적 초점이 됐고, 이는 기업은 물론 금융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의 물줄기를 요약한 단어가 바로 ESG다.

 

ESG가 아니라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꾸준히 이어져왔다. 예전에는 ESG 대신 사회적 책임 경영, 지속 가능 경영, 임팩트 투자 등 다른 용어를 썼을 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거보다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 특히 금융시장의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는 점이 다르다.

 

이제 ESG의 각각을 좀더 자세히 뜯어보자

 

투자자들 사이에 E라고 하면 흔히 친환경 관련주를 일컫는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전기차나 수소차 관련주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E는 굳이 친환경사업을 하지 않더라도 환경친화적으로 경영하는 기업까지 포함한다.

 

에너지를 적게 쓰거나 탄소배출을 적게 하는 기업이 해당된다. 애플이 세계 전역의 애플시설을 100%재생에너지로만 가동한다는지,

 

아웃도어 의류업체 파타고니아가 "낡은 옷을 수선해 입자"는 캠페인을 벌이는 것도 E의 모범생이 되기 위한 활동이라 볼 수 있다.

 

S는 기업이 종업원의 인적 다양성이나 소비자 보호.인권.동물보호 등 사회적 이슈에 얼마나 적극적인가를 의미한다.

 

G는 기업이 이해당사자를 얼마나 중시하고 우호적 관계를 맺는가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해당사자란 주주의 범위를 넘어 종업원.소비자.협력업체를 포괄한다.

 

즉, 배당을 많이 주고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 주주 친화적인 것은 물론이고, 종업원의 복지에 신경을 쓰고 협력업체에 갑질을 하지 않는 것도 포함된다.

 

요즘 많은 기업은 ESG분야에서 어떤 노력을 해서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 자발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해 공개한다. 이것이 의무가 아니기에 정해진 양식은 없지만,

 

몇몇 비정부기구(NGO)기관들은 ESG 보고서에 꼭 담아야 할 내용을 표준양식으로 만들며 많은 기업이 이를 준수한다.

 

최근 투자 세계에서 ESG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진 까닭은 ESG를 잘하는 기업이 성과도 좋고 주가도 많이 오른다는 인식이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전세계 600여개의 투자 관련 조직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투자자의 82%가 "투자 결정을 할 때 기업의 ESG 정보를 참고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또 '그렇다'고 답한 가장 큰 이유(63%)는 'ESG 정보가 투자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마디로 착한 기업이 돈도 잘 번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까지 추구하다 보면 기업 본연의 목적을 소홀하게 돼 기업의 성과를 저해한다.'는 과거의 지배적인 논리에서 본다면 혁명적인 관점의 변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