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피부염 환자를 위한 생활팁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시사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위한 생활팁

반응형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위한 생활 팁

 

아토피 피부염은 음식물 또는 흡입 알레르겐뿐 아니라 땀, 스트레스, 거친 재질의 옷감, 과도한 비누 사용, 급격한 온도 습도 변화, 대기오염 등에도 악화될 수 있다. 보습제를 하루 3회 이상씩 꾸준히 발라주는 것이 중요한데, 겨울철에는 피부가 매우 건조해지므로 더 자주 발라준다. 또한 여름철에는 땀이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자주 씻고 물기가 마르기 전에 보습제를 발라주어야 한다. 시험이나 업무 등으로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아토피피부염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은 평소 스트레스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며 급성 악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미리 교육을 받아 드는 것이 좋다. 필요한 약물을 구비해두는 것도 중요하다.

 

 

거친 재질의 옷감은 피부를 자극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면 소재의 옷을 선택한다. 티셔츠 등의 뒤 목 부분에 달려 있는 레이블도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목욕을 할 때(두꺼워진 피부를 밀어내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이해하지만) 자극을 줄 수 있는 때수건 등의 사용은 자제한다.

 

급격한 온도와 습도 변화도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 요인이다. 가급적 그러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적정한 실내 온습도를 유지한다. 실내온도는 18~23'C, 습도는 40~50%가 적합하다.

 

'집이 사람을 공격한다.'는 이른바 새집증후군은 아토피 피부염을 대중에게 알린 1등 공신이다. 건축 또는 가구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원료이자 실내장식용 페인트에 함유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해 피부가 자극이 되어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악화되는 현상으로, 새집의 경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함유한 건축자재에서 수년 동안 실내로 포름알데히드 등이 방출될 수 있다. 새집으로 이사한 직후 눈, 코, 후두 및 기도 점막을 자극하여 눈이 아프고 가렵고, 목이 따갑고 쉬고, 기침을 하는 등의 자극 증상이 있을 수 있고, 두통, 피로, 무기력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 외 크실렌, 톨루엔, 벤젠, 유기인, 연소 방지제, 염화비닐 등이 알레르기 질환을 악화시키는 주요 유기화합물질이다.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축, 가구 접착제, 페인트 등을 휘발성 유기화물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사하기 약 7일 전부터 실내 난방 온도를 30'C 이상 8시간 정도 유지한 뒤 12~18시간 환기를 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없애는 베이크아웃(bake-out)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가급적 새집보다는 지은 지 3년 이상 되는 집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무엇보다 기본적인 관리, 즉 꾸준히 보습제 등으로 피부를 잘 관리하고 치료 약물을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사한 후, 리모델링 후, 또는 새로운 가구나 전자제품 등을 들여놓은 후 아토피 피부염이 나빠졌다면 그에 따른 원인 파악과 치료가 필요하며 동시에 실내 오염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창문 또는 문을 열어 자주 환기를 시켜주어야 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활동을 하였을 경우 더 자주 환기를 한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도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외출 등에 유의하는 것 외에 평소에도 꾸준히 보습제와 치료 약물을 사용하여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집증후군 예방에 특효, 베이크아웃하는 법

 

* 가구나 수납장 붙박이장 등의 종이나 비닐을 모두 제거하고 문을 열어놓는다.

* 외부와 통하는 문을 모두 닫는다.(밀폐를 잘해야 난방비가 덜 들고 효과도 좋다)

* 난방을 최대한 틀어 실내온도를 30~35'C로 맞추고 8시간 정도 유지한다.(40'C 이상 온도를 올리면 건축자재나 마감재의 변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12~18시간 이상 충분히 환기한다.

* 이사 7일 전부터 상기 베이크아웃을 최소 4~5회 시행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