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개념 정리 3(계열사, 지배회사, 자회사)
계열사, 지배회사, 사회는 뭐가 다른가요?
계열회사/계열사(Affiliated Company) : 2개 이상의 회사가 동일한 기업 집단에 속하면 계열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소위 재벌 그룹은 대부분 개열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그룹 내에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증권 등 삼성그룹 계열의 회사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삼성'이라는 말을 공유하는 같은 계열사이지만 각각은 독립된 완전한 다른 회사입니다.
지주회사/모회사/지배회사(Holding Company) : 지주회사(모회사)는 종속회사(자회사)를 지배하는 회사입니다. 종속회사의 주식을 100% 보유하거나 지배할 수 있을 만큼 보유하면 지주회사가 됩니다. 모든 지주회사의 이름이 **홀딩스는 아니지만 한국콜마홀딩스, 농심홀딩스 등의 **홀딩스라는 말이 붙은 기업은 해당 그룹사의 지주회사입니다.
종속회사/자회사(Subsidiary Company) : 종속회사(자회사)는 지주회사(모회사)의 지배를 받는 회사입니다. 지주회사와 종속회사는 법적으로 독립된 전혀 다른 회사입니다. 하지만 지주회사가 종속회사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기에 종속회사는 그 지배하에 놓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LG디스플레이는 LG전자의 자회사입니다.
주식투자를 도박이나 투기처럼 생각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정말 주식투자가 도박일까요? 유명한 투자자 피터 린치는 '주식투자가 될지 도박이 될지는 투자하는 방식에 달려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시장 자체의 위험보다 투자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위험이 커진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최근 시장에서 인기 있다는 이유로 단기간에 이미 크게 오른 주식을 사는 것은 투기입니다. 하지만 기업의 사업과 실적에 대한 분명한 기대를 갖고, 적정 가격에 주식을 사는 것은 투자입니다. 한편 워런 벗핏의 투자 스승인 벤자민 그레이엄은 투자와 투기를 다음과 같이 구별하였습니다. "투자란 철저히 분석하에서 원금의 안전과 적절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이고,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위는 투기이다."라고 말이죠. 우리가 시작하려는 것이 투기가 아닌 투자이길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이평선) (0) | 2020.04.06 |
---|---|
주식 동시에 주문하면 어떤 주문이 먼저 체결되나요? (0) | 2020.04.01 |
나에게 맞는 펀드 찾기 (0) | 2020.03.29 |
주식 개념 정리2 (0) | 2020.03.28 |
주식의 개념정리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