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개념 정리2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 개념 정리2

반응형

주식 개념 정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제1시장이 코스피 제2시장은 코스닥입니다.

한국에서 주식시장이라고 하면 보통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을 말해요

 

코스피시장은 1956년에 개장하였습니다. 전통 업종에 속하는 화학, 음식료 기업을 포함해 주요 대기업이 상장되어 있는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등이 대표적입니다. 코스피시장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제1시장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아무나 진입을 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닙니다. 코스피시장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연간 매출액이 최소 1,000억 원 이상 순수익이 50억 원 이상, 자기 자본금 300억 원 이상 등의 자격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코스닥은 중소, 벤처기업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기술주 중심의 기업들이 상장된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마킹해 1996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요건은 연간 매출액100억 원, 순이익 20억 원 이상으로 코스피에 비해 문턱이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무나 상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코스닥시장에는 CJ ENM,메디톡스,스튜디오 드래곤과 같은 IT, 바이오 중소 제조업체 등이 상장되어있습니다.

코스닥시장의 주인공은 코스피시장에 상장할 요건을 갖추지 못한 중소,벤처기업입니다. 그래서 흔히들 "코스피는 실적을 먹고살고, 코스닥은 꿈을 먹고 산다"라고 말합니다.

 

주가지수는 코스피, 코스닥 이외에도 코스피200, 코스닥 150등이 존재합니다.

코스피 200은 1994년 6월에 도입된 지수로 코스피를 대표하는 200개 기업의 가치를 산출하여 만들어진 지수입니다. 1990년 1월 3일 기준으로 코스피 200에 속하는 기업의 시가총액이 얼마나 변했는지 보여줍니다. 시장의 대표성, 유동성,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200개의 종목이 선발되는데, 종목은 매년 1회 정기적으로 변경됩니다.

정기 변경일은 6월 선물 최종 결제일의 다음 거래일입니다.

 

주식을 사려면 주식거래 전용계좌가 필요합니다.

과거와 달리 증권사 지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비대면으로 주식거래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직접해보지 않으면 어려운 주식 요즈음은 더욱더 어려운 주식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어쩜 하루하루가 가시밭길을 걷고 있는 듯한 느낌일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다시금 오를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무리하지 않게 여유 자금으로 조심조심 한 발짝씩 걸어 나가보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