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맞는 펀드 찾기
패시브 펀드(Passive Fund)
패시브 펀드는 '증권시장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한다.'를 전제로 코스피, 코스닥 등의 특정 지수(stock price index)를 추종하도록 설계한 펀드입니다. 다른 말로 인덱스펀드(index fund)라고도 부릅니다.
액티브펀드(Active Fund)
펀드매니저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투자 종목을 결정하는 펀드입니다. 적극적으로 산업과 기업을 분석하여 투자할 종목을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최근 패시브 펀드가 액티브펀드에 비해 안정적이고 수익성이 좋다고 평가되면서 투자 규모도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ETF(상장지수펀드)
상장지수펀드(ETF:Exchange Traded Fund)는 말 그대로 상장된 지수(인덱스)펀드입니다. 즉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시장에 상장한 것입니다. 여러 기업에 분산 투자하고 싶은데, 투자할 종목을 선택하고 분석하는 일이 너무 어렵다면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다양한 ETF 상품이 존재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KODEX 레버리지, KODEX인버스 등이 있습니다.
ETF는 해당 상품을 출시한 자산운용사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앞서 말한 KODEX로 시작하는 ETF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상품입니다. 한편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 HANARO는 NH아문디자산운용, KINDEX는 한국투자신탁운용, KOSEF은 키움 투자자산운용, ARIRANG은 한화 자산운용, KB STAR는 KB자산운용에서 출시한 ETF입니다. ETF는 증권거래소가 면제되지만 펀드이기 때문에 운용수수료가 존재합니다.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라고 해도 자산운용사에 따라 운용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매수 전에 살펴보아야 합니다.
사모펀드
개인을 나타내는 뜻의 사(私)와 모은다는 뜻의 모(募)를 쓰는 사모펀드는 비공개 투자자를 모집하여 운용하는 펀드로,공모펀드에 비해 자산운용의 제약이 적습니다. 공모펀드는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일반 펀드를 의미합니다. 사모펀드는 고수익 기업투자 펀드라고도 불립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부터 사모펀드 설정액이 공모펀드를 뛰어넘으며 사모펀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추세에 따라 2018년 당정이 합의하여 사모펀드 투자자를 49인에서 100인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을 발의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내가 직접 주식투자를 하는 것보다는 전문가에게 맡겨 펀드투자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가 투자를 하면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겠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펀드 상품도 주식투자와 마찬가지로 원금을 보장받지 못하고,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펀드 투자가 수익이 나든 손실이 나든 운용사에게 보수는 지불해야 합니다.
투자는 항상 손실 발생을 감소하고 해야 할 것 같아요 요즈음 전세계적으로 어려운 때라 주식이고 펀드고 모두가 마이너스를 향해 가고 있지만 언젠가는 좋은 소식을 전해 줄 그때를 기다려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이평선) (0) | 2020.04.06 |
---|---|
주식 동시에 주문하면 어떤 주문이 먼저 체결되나요? (0) | 2020.04.01 |
주식 개념 정리3(계열사,지배회사,자회사) (0) | 2020.03.31 |
주식 개념 정리2 (0) | 2020.03.28 |
주식의 개념정리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