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이란? 고기도 많이 안 먹는데 고지혈증?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시사

고지혈증이란? 고기도 많이 안 먹는데 고지혈증?

반응형

고지혈증이란? 고기도 많이 안 먹는데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혈액 속 지방(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미드 혹은 중성지방) 수치가 기준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좋은 콜레스테롤(HDL)이 너무 낮은 것도 문제인데, 이런 상태를 통틀어 '이상지질혈증' 이라고 부른다.

 

 

많은 사람이 고기를 많이 먹어서 고지혈증이 생긴다고 알고 있지만 80%는 본인 탓이 아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 기본적으로 고지혈증은 유전적 요인으로, 간에서 콜레스테롤이 많이 만들어 내는 경우에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반대로 콜레스테롤의 배출을 도와주는 호르몬이 감소해도 고지혈증이 생길 수 있다. 바로 갑상선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이 이에 해당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가 있거나 여성호르몬이 이에 해당된다. 갑상선 기능 저하가 있거나 여성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갱년기에 접어들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 질 수 있다. 

 

자신의 노력으로 어쩔 수 없는 요인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약을 복용해 교정하지 않으면 다시 이상지질혈증 상태로 돌아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상지질혈증은 핏속에 불필요한 지방이 많은 상태이다.

 

처음에는 별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름때가 혈관 벽에 달라붙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증(혹은 죽상경화)으로 진행한다.

 

동맥경화증은 혈관이 있는 부위라면 어디든 생길 수 있다. 특히 뇌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중풍이라 부르는 뇌졸중이 생기고, 관상동맥(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에 생기면 협심증 또는 심장마비가 올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이상지질혈증은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이상지질혈증을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조심해야 하는 음식'은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새우, 게, 가재 등은 절대 먹으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음식은 생각보다 콜레스테롤을 많이 올리지는 않는다.

 

오히려 주의가 필요한 음식은 따로 있다. 바로 커피와 포화지방이다.

 

커피콩에는 카페스톨이라는 식물성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몸속에 들어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물론 모든 커피가 콜레스테롤을 높이지 않는다. 커피를 내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해 카페스톨이 제거되었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드립커피는 종이 필터를 통해 카페스톨이 제거되지만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캡슐커피 등은 카페스톨 제거가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그 원인을 찾았을 때 커피를 자주 마시고 있다면 커피를 먼저 중단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음식 중성지방을 높이는 당질 함량이 높은 음식
곱창,간,생선의 내장,생선알,달걀노른자,메추리알노른자,육류기름,닭껍질,햄,베이컨,소시지,오징어,장어,새우,우유,버터,마가린,감자칩,튀긴음식,기름진 탕류(설렁탕,추어탕,곰탕등) 쌀(백미),국수,떡,고구마,감자,빵,설탕,엿,케이크,청량음료,통조림,과일

 

커피와 함께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주요 원인은 포화지방이다. 포화지방은 콜레스테롤 생성을 촉진하고 제거를 방해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인다.

 

대표적인 음식은 코코넛유, 버터, 팜유, 삼겹살, 라면, 튀김, 커피믹스, 과자 등이다.

 

그렇다면 앞서 언급한 새우, 게, 계란과 같이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마음껏 먹어도 될까?

 

그렇지 않다. 커피, 포화지방 섭취를 조절했는데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여전히 높다면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줄여볼 수 있다. 무엇이든 과하면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롤과 별개로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높아도 이상지질혈증이라고 한다. 중성지방은 잉여 에너지 비축에 주로 쓰인다.

 

단순당(콜라,주스,케이트,과자 등)과 정제된 탄수화물(백미,국수 등)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칼로리가 남아돌아 중성지방으로 쌓인다.

 

특히 술은 중성지방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만약 중성지방 수치가 높다면 수치 조절을 위해 금주가 필요하다.

 

금주로 중성지방 수치를 80%까지 줄일 수 있다.

 

그렇다면 운동이 도움이 될까? 답은 '운동 효과도 어떤 수치가 높냐?에 달려 있다. 유산소 운동은 '중성 지방'이 높은 이상지질혈증에 효과적이다.

 

운동으로 수치가 조절되지 않는다면 이는 콜레스테롤(LDL)수치가 높은 이상지질혈증이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롤은 칼로리로 소모되는 지질이 아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이상지질혈증은 약물 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생활습관보다 유전 요인이 더 큰 원인이기 때문이다. 특히 심근경색,협심증,뇌경색,경동맥협착,합병증이 있는 당뇨 환자, 만성 콩팥병 환자 등은 콜레스테롤 수치와 상관없이 반드시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달리 중성지방은 칼로리로 소모되는 지방이기 때문에 중성지방이 높은 이상지질혈증은 꾸준한 운동으로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다. 

 

그렇다고 콜레스테롤이 높거나 좋은 콜레스테롤(HDL)이 낮은 이상지질혈증이라고 운동이 필요없다는 뜻이 아니다.

 

유산소 운동이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없다.

 

이상지질혈증 치료도 결국 심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운동으로 단순히 눈에 보이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는 목표보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혈압, 당뇨 등 다른 만성질환을 예방한다는 목표로 접근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