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 후손 황제 호해와 환관 조고-지록위마
본문 바로가기

일상

진시황 후손 황제 호해와 환관 조고-지록위마

반응형

진시황 후손 황제 호해와 환관 조고-지록위마

 

지록위마(指鹿爲馬)의 고사가 있다.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다.'라는 뜻으로, 황제를 허수아미로 만든 신하의 전횡을 가장 적나라하게 말해주는 고사다.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의 대를 이은 제2대 황제 호해와 환관 조고에 대한 이야기로 <사기><신어>등에 실려 있다.

 

경쟁자를 모두 제거하고 황제보다 더 큰 권력을 잡은 조고가 자신에 대한 신하들의 충성심을 떠보기 위해 사슴을 끌고와 황제에게 바치면서 "명마입니다"라고 말했다.

 

 

황제는 황당해하며 "승상이 틀렸다. 어찌 사슴을 가지고 말이라고 하는가?"라고 했고, 신하들의 대답 역시 말과 사슴으로 갈렸다.

 

그나마 정신이 바른 사람들은 사슴이라고 했지만, 조고가 무서웠던 사람들은 말이라고 대답했다. 조고는 사슴이라고 바르게 말했던 신하들을 모두 중상모략해서 제거했고, 그때부터 조고의 말에 저항하는 사람은 없게 됐다.

 

2대 황제 호해는 원래 황제로서의 정통성이 없던 인물이었다. 진시황이 천하를 순행하던 중 사구 땅에서 병들어 죽자 환관 조고, 승상 이사가 공모해 '장자에게 양위하라'는 조서를 변조해 황제의 자리를 앉힌 인물이다.

 

장자 부소와 충신 몽염 장군은 자신들의 권력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해 어리숙한 인물을 황제로 옹립했던 것이다.

 

호해는 당연히 나라를 훌륭하게 다스릴 위인이 되지 못했고 두 권력자에 기애어 부귀영화를 누릴 생각에만 사로잡혀 있었다.

 

이처럼 무능한 인물을 꼭두각시로 세운 두 간신은 마음대로 권력을 휘둘렀다. 불의로 황제의 자리를 찬탈했기에 정통성을 얻기 위해서 엄격한 법령과 무력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경쟁자가 될지도 모를 황제의 형제와 공자, 그리고 신하들을 죽였고 잔혹한 법적용으로 백성을 도탄에 빠뜨렸다. 조고는 그나마 올바른 통치의 도를 알고 있던 재상 이사마저도 갈등 끝에 죽였고, 더욱더 전횡을 알삼았다.

 

그러자 전국 각지에서 모반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진나라는 중국을 통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멸망의 길로 가게 된다.

 

2대 황제는 전국 각지에서 반란군이 일어나고 항우와 유방의 군대가 몰려오자 그제야 조고를 질책하기 시작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야 조고의 실체를 알게 됐던 것이다. 조고는 다그치는 2대 황제를 죽여버리고 그 형의 아들인 자영을 황제로 삼아 또다시 황제 위에 군림하려고 했다.

 

자영은 자신을 조롱하려는 조고를 함정에 빠뜨려 죽였지만, 후에 함양을 정복한 항우에 의해 그 역시 죽임을 당하고 만다.

 

중국을 통일했던 진시황제의 위업은 단 3세대 만에 영원히 망하고 말았다.

 

'창업은 어렵지만 수성도 쉽지 않다' 는 당 태종의 말처럼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은 한순간인 것 같다. 단 두명의 간신이 무능력한 황제를 세워두고 국정을 농단하다가 힘들여 창업했던 제국을 날려버렸기 때문이다.

 

황제가 세상을 보는 눈을 감고 '부도덕' 과 '불의'의 인물을 곁에 두면 결국 나라는 망하고 만다. 오직 권력자는 눈치만 살피며 처신하는 간사한 '자기 보신'의 인물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 역시 그 당시에는 자신들이 정당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자신들의 전횡 역시 나라를 위한 충정이라고 여겼다.

 

순자는 이런 것은 모두 마음이 가려져 있기 때문이라고 자신의 책 <순자>에서 말했다. 자기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마음 한모퉁이가 가려져 있어서 큰 이치를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라를 어지럽히는 임금과 집안을 어지럽히는 사람도 나름대로 올바른 것을 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모두 자기 나름대로 판단하기에 어지러워지는 것이다.

 

자기가 해놓은 것은 그것이 나쁘다는 말을 들을까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이 하는 방법을 보고는 그것이 훌륭하다는 말을 들을까 두려워한다. 그래서 다스림과는 멀어지고 있는데도 자기가 옳다는 생각을 버리지 못한다.

 

이 어찌 마음 한모퉁이가 가려져 있어서 올바름이 잘못 구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순자의 지적은 지금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권력을 가진 사람은 반드시 새겨봐야 한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태무침  (0) 2021.01.19
푸라닭치킨-치킨도 요리다. 치킨의 명품 푸라닭  (0) 2021.01.06
해파리요리-국내산 살아있는 해파리요리  (0) 2020.08.17
장어양념구이  (0) 2020.08.13
치매 가슴아픈병  (0) 202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