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양지인 '송나라 양공의 어짊'
옛날말은 틀린 말이 없다고 하고, 어른들의 말씀은 주의를 기울여 새겨 들어야 한다고 한다.
<한비자>에는 '송나라 양공의 어짊'이라는 뜻을 가진 '송양지인(宋襄(도울양)之仁(어질인))의 고사가 실려 있다.
이야기인 즉슨 이렇다.
송나라 양공이 탁곡 강가에서 초나라군대와 대치하고 있었다. 송나라 군대는 이미 전열이 정비된 상태고 초나라 군대는 아직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었다.
그 때 대부 구강이 송양공에게 계책을 간언했다.
"초나라 군대는 많고 우리 송나라 군대는 얼마 되지 않습니다. 초나라 군대가 강의 중간쯤에 도달하면 전열을 정비하기 전에 그들을 공격하도록 하십시오. 우리가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그러자 양공이 대답했다.
"군자의 도리는 이미 상처를 입은 자에게 또 상처를 주지 않으며, 백발노인을 붙잡지 않으며, 사람을 곤경에 빠뜨리지 않으며, 좁은 곳으로 몰아넣지 않으며, 전력을 미처 갖추지 못한 적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고 알고 있다.
초나라가 전열을 갖추기 전에 습격을 한다는 것은 도의가 허락하지 않는다. 초나라 군대가 완전히 강을 건너고 진을 구축한 다음 북을 치고 공격을 시작할 것이다."
결국 강을 건너 전열을 정비한 초나라 군대에게 송나라 군대는 크게 패하고 말았다. 초나라 군대가 훨씬 대군이었던 만큼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결과였다.
많은 군사가 죽었고 양공 역시 다리에 상처를 입고 사흘 만에 죽고 말았다. 이 고사를 보면 전장에서 마치 도덕 선생처럼 인의 타령을 할 때 어떤 결과가 오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인의를 통해 정의롭게 다스리려던 나라는 피폐해졌고, 좋은 가르침을 통해 바르게 이끌려던 백성들은 적의 손에 들어가 도탄에 빠지고 마는 것이다.
전쟁이 일상사처럼 벌어지던 춘추전국시대에 전쟁이란 국가의 명운을 걸고 싸우는 것이다.
전쟁에서 이기면 상대 국가를 지배하고 나라가 번창하지만, 만약 패하면 나라가 없어질 수도 있다. 최고의 병법서로 꼽히는 <손자병법>의 첫머리에 실린 글이 잘 말해준다.
"전쟁이란 나라의 중대사다. 백성의 삶과 죽음을 판가름하는 마당이며, 나라의 보존과 멸망을 결정짓는 길이니, 길이 삼가며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병자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이어서 "전쟁은 속임수의 도다 (兵者詭道也 병자궤도야)"라고도 실려 있다. 전쟁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지만 부득이 할 수 밖에 없다면 그 어떤 수단을 쓰더라도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말이다.
이로써 보면 생사가 오고 가는 치열한 전쟁터에서 적에게 인의를 베푼다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치는 전쟁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도, 그 어떤 덕목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논어> '양화'에서 공자는 용기는 뛰어 나지만 학문이 부족한 제자에게 이렇게 가르쳤다.
"유(由. 자로의 이름)야, 너는 여섯가지 덕목과 그로 인한 여섯가지 폐단을 알고 있느냐?" 자로가 "아직 들어보지 못했습니다."라고 하자, 공자가 가르쳤다.
"인(仁)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으로 어리석게 된다. 지혜로움(知.지)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분수를 모르게 된다.
신의(信.신)를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남을 해치게 된다. 정직함(直.직)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박절하게 된다. 박절하다(인정이 없고 쌀쌀하다.)
용기(勇.용)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질서를 어지럽히게 된다.
강직함(剛.강)을 좋아하되 배움을 좋아하지 않으면 좌충우돌하게 된다. "仁.知.信.直.勇.剛(인.지.신.직.용.강)의 여섯가지는 공자가 제자들에게 갖추도록 항상 강조하던 덕목들이다.
이런 좋은 덕목들도 배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리 분별력이 없으면 반드시 폐해를 가져온다는 가르침이다.
때와 상황에 맞지 않게 덕목을 고집하는 것도 마친가지다.
인은 평상시에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지만 전쟁터에서 고집한다면 처절한 패배를 가져오게 된다.
전장에서는 전쟁의 덕목과 장수의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송양지인'처럼 군주가 자신의 소신과 덕목만을 고집한다면 나라가 망하고 만다.
지도자가 자신의 소신과 능력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각 분양의 전문가를 찾아 일을 맡겨야 하는 이유다.
조윤제(인문고전연구가)
'생활정보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의 차등의결권 (0) | 2021.05.26 |
---|---|
농민수당 (0) | 2021.05.25 |
커피를 마시면 당뇨병이 좋아질까? (0) | 2021.05.22 |
말라리아 이야기 (0) | 2021.05.14 |
당화혈색소 당뇨병의 진단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