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평가서를 확인하라
일을 해서 돈을 버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일해서 버는 것 이외에 투자하여 버는 돈도 만만치가 않다.
조금 더 노력하여 월급 이외의 돈을 벌어보는 것은 어떤가? 그러기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하다.
수익률만 높으면 좋은 펀드니까 검색해서 가장 잘 팔리고 수익률 좋은 펀드를 고르는 게 나쁜 생각은 아니다. 다만 조금 더 신중을 기하기 위해 '과연 내가 선택하고자 하는 펀드는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를 알아보는 것이 조금 더 안심되는 방법이다.
펀드 평가서는 모닝스타코리아(www.morningstar.co.kr)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모닝스타코리아에 접속해서 상단 메뉴 중 '펀드 검색 툴'을 클릭한다.->Fund QuickRank'클릭
*유형 : 펀드의 이름에 반드시 '주식', '채권', '혼합' 등을 쓰게 되어 있다. 유형 파악은 비교적 쉽다.
*기준가 : 펀드를 사고파는 기준, 펀드가 처음 만들어질 때는 1천 원에서 출발한다. 별로 신경 쓸 것 없다.
*순자산 : 너무 크거나(몇조원대) 너무 작지만(50억 원 미만) 않으면 된다.
소규모 펀드라 하여 설정.설립이후 1년이 되는 날에도 원본액이 50억 원 미만인 펀드를 말한다. 정부는 2016년부터 꾸준히 소규모 펀드는 정리하도록 법제화시킬 준비를 하고 있다.
너무 소규모라면 언제 정리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있을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다.
*설정일 : 3년 이상이면 좋다. 그것도 아니라면 1년 정도는 넘어야 한다.
*벤치마크(BM) : 수익률 목표를 잡을 때 정하는 기준점이다. 보통 종합주가지수인 코스피200지수를 따른다. 이 수치보다 펀드 수익률이 높으면 펀드를 잘 운용했다는 말이다.
*기간별 수익률 : 참고만 하라. 너무 좋았어도 문제고 너무 낮았어도 문제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베치 마크보다 꾸준히 좋았다고 하면 좋은 것이다.
*수수료 : 보통 90일 미만 환매 시 이익금의 70%를 부과한다. 당장 3개월 내에 환매할 계획이 있는 게 아니라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펀드 보수 :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주는 수수료다. 이런저런 내역까지 다 보려면 복잡하니, 선취형인지 후취형인지만 먼저 파악하라. 연 2.5%를 기준으로 그보다 많으면 수수료가 비싸고, 적으면 싸다고 생각하면 된다.
*주식의 운용 스타일 : '대형주/혼합주/중소형주'로 나누고 다시 '가치주/혼합주/성장주'로 나누어 9개의 스타일로 표시한다.
*베타 : 1보다 크면 벤치마크보다 더 크게 수익이 출렁인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종합주가지수가 10% 변동할 때 펀드 수익률도 10% 변동한다면 베타는 1이 된다. 그렇다면 베타가 1보다 작으면 좋다는 것을 의미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그럴 경우 시장의 변동에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주가 성장기에는 다른 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낼 때 해당 펀드만 수익을 내지 못할 수 도 있다.
*표준편차 : 이건 좀 중요하다. 수익이 출렁거리는 정도를 뜻하기 때문이다. 정해진 것은 없지만 30% 이내면 안정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사프 비율 : 클수록 좋다. 위험 대비 초과 수익률을 의미한다.
인터넷만 검색하면 모든 투자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투자하기 쉬운 나라가 대한민국이라고 주식투자의 대가인 워런 버핏도 인정했다.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펀드 평가 사이트와 각종 금융상품몰을 통해 가입하고 싶은 펀드들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펀드 슈퍼마켓(www.fundsupermarket.co.kr) : 일반 펀드보다 낮은 수수료로 이용 가능하다.
*모닝스타(www.morningstar.co.kr) : 펀드의 성과를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전문가들이 애용하는 사이트다. 초보라면 이 사이트를 이용하길 바란다.
KG제로인(www.zeroin.co.kr) : 펀드 투자 중급 이상이면 유용하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상품의 세금 (0) | 2020.10.28 |
---|---|
어떤 펀드가 좋은가요?, 펀드 잘 고르는 세 가지 기준 (0) | 2020.10.24 |
재테크를 위해 절약 절약하자 (0) | 2020.10.16 |
재테크감각을 키워주는 경제지수 용어 (0) | 2020.10.13 |
우대금리상품 (0) | 2020.09.02 |